substance painter interface basic_01
[출처] 01. substance painter interface basic|작성자 RYM
substance painter interface basic_01
사전 섭스탠스 개념 이해 위 사진은 섭스탠스의 기본 개념이다. 이 기본 개념대로 하면 작업을 온전히 할 수 있다고 보면 된다.
모델링에서 UV맵핑, 스컬핑, 스컬핑으로 만든 하이폴을 다시 로우폴도 만들고 다시 UV맵핑 월래 맵핑과 하이폴을 베이킹 그리고 다른 과정으로는 섭스페인터로 페인팅 그리고 텍스쳐링 걸쳐 최종 아웃풋인 SBSAR파일로 변환 엔진으로 임폴트 시키는 개념이다.
(애니메이션은 제외 시켰다)
1 . 기본 인터페이스
섭스텐스 페인터 입니다.
위 화면은 섭스탠스 기본 화면입니다.
좌측상단 부터 fil edit view help가 보입니다.
file
new : 새로운 섭스탠스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open : 저장한 섭스탠스 프로젝트를 불러온다.
open smaple : 섭스탠스에서 제공하는 샘플을 불러온다.
recent files : 작업중이던 파일들을 불러온다 (현재 작업중 파일은 저장하여야하며 불러온 프로젝트로 바뀐다)
edit
3.13 am 10시 개인시간이 생기면 다시 업로드 하겠습니다.
도통 이게 뭐지!?!?!?
2 . New 새로 시작하기
상위 툴바의 file의 목록입니다.
new를 선택 하면 아래와 같은 프로젝트 셋업 팝업이 열립니다.
3 . 메시 불러오기
위 화면에서 selsct 누르게 되면
이렇게 선택창이 나옵니다.
작업 주의 : 섭스탠스의 기본 개념을 확실히 알고 작업을 시작하여야 하며 기본적인 하이폴 모델링과 로우폴 모델링이 존재하여야합니다.
또한, 로우폴 모델링의 UV는 하이폴에 제대로 펴져있어져야 합니다.
4 . 텍스쳐 불러오기
작업 주의 : 기본적으로 Ambient Occlusion과 normal map으로 작업을 합니다.
참고 : 2개의 map이 로우폴에 잘 적용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렇치 않다면 작업이 안됩니다.
Document settings의 addtional maps를 클릭하면 map이 제대로 들어온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또한
helf > textures 보게 되면 텍스쳐가 들어 온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5 . Document settings
도큐먼트 셋팅을 알아 보겠습니다.
도큐먼트 셋팅의 세부 가테고리 입니다.
size
워크스페이스에서 작업 될 텍스쳐를 사이즈를 결정 합니다.
작업 도중에도 이 사이즈를 마음대로 변경이 가능 합니다.
기본적인 임폴드 과정과 도큐먼드를 살펴 봤습니다.
다음 편 가기!
substance painter interface basic_02
http://blog.naver.com/yaung5524/220300586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