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_Worldmachine의 이해


[P02_Ch01그림49_09_39]
1) Bias : 입력값의 성향 조절
2) Gain : 입력값의 이득과 손실을 조절

[P02_Ch01그림49_09_40] Height Field와 Bitmap에 Bias/Gain을 적용한 예시


1.

모든 작업의 끝에 존재하는 Device로 매우 중요한 장치입니다.
일반적인 Height Field에 침식효과를 주어 사실에 가까운 지형을 만들 수

[P02_Ch01그림49_10_02]
1) Erosion Parameters : 침식 매개 변수
Erosion Method : 침식 방법 (Standard Erosion, Channeled Erosion)
Erosion Filtering Type : 침식 효과 종류 (No Filter, Simple Filter, Inverse Filter)
Erosion base duration : 기본적인 침식기간 지정
Rock hardness : 바위, 암석 등의 단단함 지정
Sediment carry amount : 퇴적물의 량 조절
Filter strength : 효과 강도 조절
Randomize (Random Seed) : 무작위 조절
2) Presets...6 saved presets available : 미리 맞추어있는 저장 값의 사용할 수 저장
3) Geological-time Enhancement : 지질시간 향상
Enable : 사용 여부 결정
Erosive Power : 침식성의 힘(강도) 조절
Reconstruction type : 복원시킬 종류 (Additive, Interpretive)
Scale independence (recommended) : 독립적 규모 설정 (설정을 권장)
Use original-style mask outputs : 초기의 종류 마스크를 출력 사용 여부 결정
4) Channeling Erosion Parameters : 채널링 침식 매개변수
Channel depth : 채널의 깊이 값 조절
Post-channeling erosion : 이후의 채널 침식 값 조절
2.

아래 [P02_Ch01그림49_10_04]을 보면 풍화작용으로 인해 Height Field가 흘러 내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02_Ch01그림49_10_04]
1) Iterations : 반복 처리
2) Style : 풍화작용의 종류 (Classic, Two-phase)
3) Strength : 풍화작용의 강도 조절
4) Mass Balance : 질량 균형 조절
5) Rock Angle : 바위 각도 조절
6) Talus Angle : 애추사면 각도 조절
3.

아래 [P02_Ch01그림49_10_06]을 보면 Terrace효과가 적용된 Height Field에 Snow Device를 적용하여 눈이 쌓여 경사면이 바뀐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P02_Ch01그림49_10_06]
1) Intensity : 강도 조절
2) Evaporative Balance : 증발에 의한 균형 조절
3) Snow Amount : 눈의 량 조절
4) Snow Line : 눈이 쌓이는 선 조절
5) Linear Depthmask : 선형 마스크의 깊이 사용 여부
6) Depthmask cutoff : 마스크의 깊이 잘라내기
7) Taper Snowfall : 적설량이 적어지도록 설정
4.

바다와 만나는 지형의 지면에도 파도와 바람에 의해 침식효과가 이루어 집니다.

[P02_Ch01그림49_10_08]
1) Simulation Type : 시뮬레이션 종류 (Simple)
2) Use Global Water Level : 세계적인 물 수준을 사용
3) Water Level : 물 단계 조절
4) Beach Size : 해변 크기 조절
5) Transition Zone : 전이층 선택 (Smooth, Cliffs)
6) Transition Power : 전이 세기 조절
7) Smooth Underwater Features : 부드러운 수중 특징
8) Smoothing Amount : 다듬을 총 계수


1.


[P02_Ch01그림49_11_02] Height Field의 높이값을 선택한 예시
1) Height Field의 높이값을 잡아주는 Slider
2) Maximum Minimum : 선택된 지형의 영역 최대, 최소값 표시
Invert Selection : 선택 반전
3) Falloff Adjustment : 줄어드는 값 조절 (Linear, Exponential)
4) Link Slider : Slider를 Link하여 같이 움직이도록 설정
2.


[P02_Ch01그림49_11_04] Height Field의 경사면을 선택한 예시
1) Height Field의 경사면을 잡아주는 Slider
2) Maximum Minimum : 선택된 지형의 영역 최대, 최소값 표시
Invert Selection : 선택 반전
3) Falloff Control : 감소 값 제어
4) Falloff Type : 감소 값 종류 (Linear, Exponential)
5) Link Slider : Slider를 Link하여 같이 움직이도록 설정
3.

방향과 고도를 지정하여 선택 합니다.

[P02_Ch01그림49_11_06] Height Field의 수평각도를 선택한 예시
1) Heading : 선택될 방향을 설정합니다.
2) Elevation : 선택될 고도를 설정합니다.
4.

보통 산맥의 능선을 잡아줄 때 사용하기도 하지만 기본 바닥의
랜덤한 표면 선택을 할 때 사용하기도 합니다.

[P02_Ch01그림49_11_08] Height Field의 볼록 돌출된 부분을 선택한 예시
1) Strength : 강도 조절

[P02_Ch01그림49_11_08_01] Select Convexity사용의 응용 사례
5.

아래 [P02_Ch01그림49_11_10]은 Bitmap으로 출력된 Device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색을 선택하여 마스크 영역을 뽑아낸 예시 입니다.

[P02_Ch01그림49_11_10]
1) Color : 선택할 색 지정
2) Selection Type : 선택할 종류 선택 (Select by Color, Select by Hue, Select by Saturation,
Select by Value)
3) Target : 대상 설정
4) Falloff : 감소 값 설정
아래 [P02_Ch01그림49_11_11]은 선택 종류별로 마스크 영역을 출력해본 결과입니다.



1.

아래 [P02_Ch01그림49_12_02]처럼 지형의 전체적인 Normal Map을 생성해주는 장치입니다.
이런 전체 Normal Map은 지형 Patch 수가 적을 때 디테일을 살리기 위한 대안으로 쓰일 수 있습니다. UDK 같은 경우는 지오메트 노멀맵을 지원하므로 이러한 Normal Map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02_Ch01그림49_12_02] Height Field에서 Normal Map 데이터 추출
1) Encoding Type : 변환 종류 R=X, G=Y, B=Z
Flip X : X방향으로 뒤집기
Flip Y : Y방향으로 뒤집기
2.

아래 [P02_Ch01그림49_12_04]과 같이 Channel Splitter는 RGB채널을 가진 Bitmap에서 채널을 분리해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02_Ch01그림49_12_04]
1) Channel Type : 채널의 종류 선택 (Red/Green/Blue, Hue/Saturation/Brightness)


[P02_Ch01그림49_12_06] 독립된 채널을 합쳐서 RGB채널을 만들어 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Channel Type : 채널의 종류 선택 (Red/Green/Blue, Hue/Saturation/Brightness)
4.

Colorizer은 보통 지형의 초기 가공 작업 중 3D View에서 지형의 형태를 확인할 때 지형에 간략하게 색을 입혀주는 역할을 합니다.

[P02_Ch01그림49_12_08]
1) Select colorizing method : 흑백을 컬러화 하는 방법 선택 (Use current world color,
Import color gradient)
2) From built-in colortables Select coloration : 내장 컬러 테이블에서 착색을 선택
(Greyscale, Woodlands &Mountains, Desert, Desert &Water, Great Plains, Acid Bleached World, Emerald Isles, Icelandic, Blast Zone, Spectrum, Greyscale+Topo Lines)
3) Colors from file : 색 정보를 가진 Bitmap이미지 불러오기
5.

Height Field의 Light map을 생성해주는 Device로 사구의 한쪽 면이나 절벽의 한쪽 면을 선택할 때 응용하여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P02_Ch01그림49_12_10]
1) Illumination Model : 조명 모델 선택 (Direct Lighting, Raytraced Lighting)
Included Lighting : 조명과 함께 포함되어 표시될 옵션 선택
(Shadows, Indirect Lighting Only)
2) Produce RGB Lightmap : RGB Light map 생산 여부 결정
Soft Clipping : 부드럽게 깎기
Use Global Light Direction : 세계적인 빛의 방향을 사용
3) Sun Heading : 태양의 방향
Sun Altitude : 태양의 고도
Sky Lighting Level : 하늘 조명 단계
Diffuse Level : 확산 단계
4) Sun Color : 태양 색
Sky Color : 하늘 색


1. Automation Scalar : 자동화 수량(실수로 표시) 매개 변수
2. Bank Selector : 실수 선별기
3. Scalar Generator : 실수 생성기
4. Scalar Clamp : 실수를 고정시켜주는 매개 변수
5. Scalar Inverter : 실수 변환 장치
6. Universal Splitter : 입력된 실수를 분배해주는 매개 변수
7. Scalar Arithmetic : 실수 계산(산수) 매개 변수
8. Scalar Combiner : 실수 결합기
9. Integer Generator : 정수 생성기
10. Coordinate Generator : 좌표 생성기
11. Integer Equals : 같은 정수의 매개 변수


1. Pull-Up : node의 전체 흐름에서 특정 부분을 뽑아 내주는 장치
2. Multi Splitter : 다중 분배기
3. Multi Chooser : 다중 선택기
4. Switch : Device연결 교환기
5. CheckPoint : Node 연결의 체크포인트(검사점) 관리 장치
Macro
위의 Parameter와 Flow Control은 Macro를 만들기 위해 제공되는 Device들 입니다.
이 Device들은 일반적인 장치로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기본성질은 Macro를 만들기 위함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Macro가 왜? 필요한지 어떻게 생성되는지를 예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02_Ch01그림49_14_01] 다소 복잡한 Device 구조
위 [P02_Ch01그림49_14_01]은 평소 Device 작업 환경의 모습입니다.
디테일한 지형 가공 작업을 하다 보면 노드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알아보기 힘듭니다.
이런 점을 Macro라는 Device로 함축하여 작업에 효율을 올리고 노드의 간소화를 할 수 있습니다.

[P02_Ch01그림49_14_02] Macro화 된 노드 예시
Macro의 구성
Macro Device를 구성하는 데에는 다음에 조건이 필요합니다. Macro Configuration, Macro Parameters, Macro In, Macro Out 이 4가지 Device는 삭제할 수 없으며 Macro Device를 구성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Device들 입니다.

[P02_Ch01그림49_14_03] 4가지 Device로 구성되어 있는 Macro

Macro Configuration : Macro 구성
이 Device에서는 만들고자 하는 Macro의 구성과 아이콘, Macro의
설명 등을 설정하면 됩니다.
Device를 더블클릭하면 세팅창이 열립니다.
1) Author : Macro 제작자 입력
2) Description : Macro에대한 설명

아이콘의 권장 사이즈는 32 * 32 이며 BMP파일만 지원 합니다.
따로 제작된 아이콘이 없을 시 Stock Macro Icons에서 선택해도 무방
4) Access Control : Lock Macro to this Account (매크로를 잠금 설정)

[P02_Ch01그림49_14_06]
Macro Parameters : Macro 매개변수
Device의 Parameters Input에 입력될 Scalar Slider나 Color 지정 등의
매개변수를 추가하고 입력해주는 Device입니다.
1) Add New Parameter : 새로운 매개변수 생성
2) New Parameter : 생성될 Parameter의 종류 선택
3) Scalar Parameter가 생성된 모습 왼쪽 하얀 박스에 Parameter 이름 지정 가능
4) 생성된 Parameter의 Config Setting 창

[P02_Ch01그림49_14_07]
Macro In : Macro에 입력될 단자 생성
Height Field와 Bitmap등으로 입력값을 만들 수 있습니다.
1) Add New Port : 입력단자 생성
2) Settings : 입력단자의 속성
3) Port Data Type : 입력단자의 종류 선택 (Height Field, Bitmap, Text, ANY)